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정보

공교육 멈춤의날 검은 옷입고 교사들 국회로 20만명 모인다

by 올어바웃인포라미 2023. 9. 2.
반응형

교사들의 단체 행동: '공교육 멈춤의 날' 이슈

 최근 교육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교사들의 단체 행동에 대한 이슈가 계속해서 더 크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교사들은 고된 교육 현장과 정책 등에 불만을 품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검은 옷을 입고 국회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하는 등의 행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지지와 호응도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교사들의 요구와 행동

법안 개정 요구: 교사들은 최근 서이초 사건을 계기로 아동복지법 제17조 5호의 법안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은 정서적 학대 행위가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교사에게 정당한 교육활동이 아동학대로 신고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공교육 지지: 교사들은 공교육을 지키고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회 앞에서 집회를 강행하고 있습니다.

교사 징계 반대: 교사 징계 및 제재 정책에 반대하고 있으며, 교사들의 휴업 및 병가 사용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공교육 멈춤의 날
공교육 멈춤의 날

교육부의 대응

 교육부는 교사들의 이러한 행동을 '불법 행위'로 규정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교사들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며, 이에 대한 대응이 고민되고 있습니다.

학생과 학부모들의 지지

 이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들은 교사들의 행동에 공감과 지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96%가 교사 징계가 부적절하다고 답하고 있으며, 93.5%가 교사들의 연가 및 병가 사용을 부적절하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사 징계에 대한 책임을 교육부에 묻는 질문에도 95.3%가 교육부에 큰 책임을 물고 있습니다.

학부모들의 지지 활동

 일부 학부모들은 교사들의 집회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학교에서 하루 가정 보육 또는 체험학습을 활용하자는 주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지 활동은 교사들에게 큰 힘을 실어주고 있으며, 교육 현장의 혼란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교사들의 단체 행동은 고된 교육 환경과 정책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는 중요한 움직임으로 여겨집니다. 이러한 이슈가 공론화되고 논의되는 과정에서 교육 현장의 개선과 공교육의 지원에 대한 중요한 결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댓글